구글 블로그 스팟의 메인 화면
구글 블로그 스팟을 접속하면 이런 화면입니다. 포스팅을 하거나 글을 관리하는 화면입니다.
좌측 사이드바에서 "+새 글"을 클릭하면 새로운 포스팅을 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블로그를 보고 싶다면 사이드바 하단의 블로그 보기를 클릭하면 자신이 블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 일반 독자가 보는 화면입니다.
이런 부분은 티스토리와 비슷한 듯하면서 조금 다릅니다.
구글 블로그 스폿은 카테고리가 따로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그 역할을 "태그"를 이용해서 합니다. 카테고리가 표시된다면 임의로 만든 것입니다.
기본 테마로는 카테고리가 생성이 안 되어서 저의 경우 카테고리가 생성되는 테마를 골라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스팟에서의 카테고리 생성
위 이미지처럼 사이드바에 카테고리가 존재하지만, 하단에 메인 태그랑 겹칩니다.
그 때문에 티스토리나 네이버처럼 다른 블로그에서 사용하듯이 태그를 여러개 붙이면 나중에 카테고리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 태그는 한 개만 달고 태그 제목도 신경 써서 달아주어야 합니다.
나중에 태그를 일괄적으로 바꿀 수도 있긴 한데 기존에 하던 방식(네이버, 티스토리)이 아니라 아무래도 번거롭습니다.
구글 블로그 스팟을 처음 할 때는 테마를 잘 골라야 할 것 같습니다.
그것은 티스토리도 마찬가지이긴 하지만 블로그 스폿의 경우 테마를 수정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이 거의 없다 보니 자신이 혼자서 html과 CSS를 수정해야 하는데 중간에 테마를 바꾸거나 하면 그만큼 손이 더 많이 가게 됩니다.
그리고 블로그 화면 환경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티스토리나 네이버 블로그와 비슷한 모습을 갖춘 테마로 해야 이질감이 느껴지지도 않아서 관리적인 측면을 보더라도 블로그 스폿을 할 때는 테마를 고르는 데에 시간을 많이 쏟아야 할 것 같습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