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는 티스토리 블로그에다 자신들의 카카오애드핏이 아닌 애드센스 광고를 넣어서 블로거의 수익을 가져가는 방식을 시작했습니다.
차라리 카카오 애드핏을 넣으면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자신들의 광고매체인 카카오애드핏도 아닌 구글 애드센스를 이용해서 티스토리 블로거의 달러벌이에 빨대를 꽂다니….
정확히는 수익을 가져가는 게 아니라 블로그 내 광고 위치 선점으로 내 수익을 도둑맞는 느낌이 듭니다. 그것도 가장 노른자위 위치에서 수익률이 가장 큰 자리를 빼앗아 갔습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지금은 구글블로그스팟에 글을 쓰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 같습니다.
많은 블로거가 워드프레스로 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보입니다.
수익이 많은 블로거의 경우 워드프레스로의 이동은 장점이 많습니다.
워드프레스 어렵지 않다. 강의도 필요 없다.
워드프레스는 호기심에 10여 년 전에 처음 사용해 보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설치형 블로그일 뿐 초기 설치만 하면 티스토리와 별반 다를 것은 없습니다.
공간을 빌리고 그 공간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고 도메인으로 접속하게 되면 방문자가 보는 페이지를 보게 되고 관리자페이지에서 블로그 설정을 할 수 있다. 그것은 티스토리 관리와 크게 다를 게 없습니다.
단지 워드프레스에서는 "oooo.net/admin" 이런 식으로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해서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플러그인도 티스토리 플러그인을 추가하듯이 워드프레스도 비슷했던 것 같습니다.
워드프레스 이용 시 주의 할 점은 글이 날라갈 가능성에 대비해 백업을 주기적으로 해야 할 필요는 있습니다.
조만간 개인 서버 NAS에 SSD를 추가 후 그곳에 워드프레스를 깔아서 테스트를 해보겠지만 과거에 비해 지금은 더 사용하기 수월할 것 같습니다. 그동안 발전 했을거라 생각됩니다.
제 기억으로는 워드프레스가 생각보다 어렵지 않으니, 블로그나 유튜브를 보며 구현할 만 할 것입니다.
그러니 강의랍시고 그런 설명서를 따로 돈 주고 볼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대체제 구글블로그스팟(구글블로거)
이것저것 다 싫고 티스토리 같은 다른 대체 블로그를 찾는다면 지금 필자가 글을 올리는 공간인 "구글블로그스팟"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글 쓰는 에디터가 티스토리에 비해 허접하고 사진 올리는 것도 불편하긴합니다.
대표 이미지를 설정할 때 html 코드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스킨만 잘 고른다면 티스토리보다 더 화려한 스킨도 있습니다.
단, 무료 스킨의 경우 제한이 많아서 html 코드를 수정하기 어렵습니다.
구글 블로그스팟에서는 스킨이라는 명칭보다는 테마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글 블로그 테마로 검색하면 많은 테마를 적용할 수 있는데 영어권에서 제공하기 때문에 html 수정을 통해서 어느 정도 수정을 해야 보기 편안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글폰트 설정 같은 것은 필수입니다.
국내 유저가 많아진다면 해결되겠지만 아직 유저가 많지 않아서 스킨을 제공하는 유저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로 인해 티스토리보다는 난이도가 높습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