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빌려달라거나 부탁같은 것을 뿌리치지 못해 불편한 부탁을 들어주고는 후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금전적인 경우가 속해있다면 나중에 더 힘들어지기도 합니다.
거절을 기분 나쁘지 않게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상대방의 감정을 존중하면서도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효과적인 거절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고자합니다.
직접적이고 담담하게 말하기
핑계를 대지 말고 솔직하게 이유를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시간이 부족해서 이번에는 함께할 수 없을 것 같아요"라고 말합니다.
애매모호하게 말하기보다는 명확하게 "아니요"라고 답변합니다. 애매한 대답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감사와 존중 표현하기
상대방이 당신에게 상담이나 기회를 주었음을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전합니다. "초대해줘서 고마워요" 같은 상대방의 고민이나 기회에 공감하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상대방의 감정과 입장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당신의 제안을 이해하고 감사해요, 하지만 이번에는 어렵겠어요"라고 말합니다.
긍정적인 언어 사용하기
거절을 시작하기 전에 긍정적인 말을 먼저 합니다. "당신의 제안은 정말 좋은데요" 같은 말로 시작합니다.
가능하다면 다른 대안을 제시합니다. "이번 주는 어렵지만, 다음 주에 만날 수 있을 것 같아요"와 같은 제안을 합니다. 하지만 꼭 2지선다로 답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음에도 만나기 싫을 경우도 있을테니까요. "시간이 날 때 연락드리겠습니다." 라는 형식의 표현도 나쁘지 않습니다.
담담한태도 유지하기
차분하고 부드러운 말투로 거절합니다. 감정적인 말투는 피합니다.
"이해해줄 수 있겠어요?"라는 식으로 상대방의 이해를 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상황 설명하기
거절하는 이유를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개인적인 사정 때문에 이번에는 참석하기 어려울 것 같아요"라고 말합니다. 너무 장황하게 설명할 필요는 없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 때문에 어려운지 설명하는 것이 좋을 수도 습니다. "이미 다른 약속이 있어서"와 같은 구체적인 이유를 제공하면 상대방이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런 설명이 빠지면 상대방을 싫어한다고 인지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공감 표현하기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당신의 입장을 이해하지만, 저도 제 상황을 고려해야 해서요"라고 말합니다.
"이 상황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아요"와 같은 동정심을 표현합니다.
거절한다고해서 관계가 나빠지는 것은 아니다
이런 식으로 상대방에게 거절의 이유를 분명히 전달하면서도 그들의 감정을 배려할 수 있습니다. 상대방의 부탁이 예상된다면 미리 거절할 멘트를 생각해 두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간략히 요약하면 상대방의 어려움에 공감하지만 담담하고 단호하게 거절하되 합당한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면 좋습니다.
무리한 요구인데도 불구하고 거절하지 못해서 나중에 원망의 소리를 듣는것 보다 조금은 불편할 수 있지만 적절한 거절의 기술을 가지고 거절하는 것도 삶의 지혜인 듯 싶습니다.
거절 대화의 예시
초대 거절
"초대해줘서 정말 고마워요. 하지만 이번 주말에는 가족 모임이 있어서 참석하기 어려울 것 같아요. 다음에 꼭 같이해요!"
업무 요청 거절
"도움을 요청해줘서 고마워요. 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너무 많아서 이번에는 도와주기 어려울 것 같아요. 다음에 시간이 될 때 꼭 도와줄게요."
의견 제시 거절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우리의 현재 목표와는 맞지 않는 것 같아요. 다른 아이디어가 있다면 언제든지 이야기해 주세요."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