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도 2촌을 하는데 굳이 시골에 집을 크게 지어야 할까?
다락 포함 13평, 1층에 거실과 주방이 있고 다락방을 침실로 사용하는 복층형 세컨드 하우스를 소개합니다.
가끔 가는 시골에 세컨드 하우스를 크게 지어야 할 필요가 없다면 관리비 용도 저렴하게 작은 주택은 어떨까요?
이런 거 몇 개를 놓으면 펜션 사업도 가능하지 않을까싶습니다.
10평 정도의 주택일 경우 관리비 절감 측면에서의 장점
- 전기료, 수도료, 난방비 등 사용료 절감 효과가 크다. 주택 규모가 클수록 사용료 부담이 커지므로, 10평 정도의 주택은 상대적으로 관리비 절감 효과가 큽니다.
- 경비비, 청소비 등 기본 관리비 절감 효과도 있다. 주택 규모가 작을수록 CCTV 갯수나 청소구역이 적어져, 기본 관리비 부담이 줄어듭니다.
- 주택 규모가 작을수록 보수해야 할 시설물의 규모가 작아져 수선 부담도 적습니다.
- 구체적인 관리비 절감 효과는 주택의 구조, 시설물의 상태, 입주민의 사용 패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10평 정도의 주택은 관리비 절감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경기도 여주시 4,000만원 대 미니 전원 주택
겉 보기에는 농막같이 생겼지만 중부1지역 단열 규정 적용으로 주택으로 승인 가능합니다.
이동식 주택, 4,400만원 부가세 별도, 사이즈 3.3m x 9m, 높이 4.2m, 외장 메탈 버티칼 or 세라믹 사이딩 선택 가능
집이 크다면 유지 관리 보수 비용. 수리비용. 실 거주를 한다면 냉난방비가 많이 들 텐데 이 정도의 사이즈라면 전기 난방으로도 따듯한 겨울을 보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름철 에어컨 사용에도 부담없는 사이즈의 주택입니다.
다락공간의 경우 층고를 조금 더 높인다면 좀 더 공간 활용에 좋을 것 같은 느낌입니다.
시골에서는 가스 난방일 경우 대형 가스통을 설치해서 사용하는데 그마저도 가스가 떨어지면 충전하는 데까지 추위에 떨어야 합니다. 그러니 전기를 이용한 냉난방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전원에서는 집이 클 필요가 없는 것 같습니다. 전원 생활에서는 창고가 커야합니다. 창고를 하나 두고 실 거주는 아늑한 미니 주택으로 짓는것은 어떨까요?
손님이 온다면 너무 좁지 않을까?
손님이 올때를 대비해 장박 텐트를 하나 놓고 거실처럼 사용하거나 때로는 자연을 느끼며 야영을 즐기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집이 작으면 작은대로 다른 요소를 추가 하면 되지 않을까요?
단지 외부에서 화장실 사용의 편의 성을 위해 외부에서 진입할 수 있는 화장실(샤워실)을 하나 두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인건비 자재 값 상승에 따른 건축비가 오른 요즘 전원 주택에 많은 돈을 투자했을 때 감가에 따른 손실이 걱정된다면 이러한 미니 주택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상담전화 : 1522-4468
제작업체 : (주)이튼하우징
주소 : 경기도 여주시 흥천면 남산로 607
주소 : 경기도 여주시 흥천면 남산로 607
▲유튜브로 보기



1 댓글
전원주택! 많은 사람들의 로망이죠 큰 주택보다 작은 전원 주택으로 세컨하우스를 찾는 분들이 많이 늘어났다고 해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