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민트에서 도스박스 mount 해서 고전 게임하기

리눅스민트에서 도스박스 mount 해서 고전 게임하기

리눅스민트에서 도스박스 mount 하기

사양이 낮은 구형 노트북에 리눅스 민트를 설치하여 간간히 사용중에 있다가 도스박스로 고전 게임이나 가끔 해볼까 하여 도스박스를 설치하였는데 mount를 잡는게 윈도우나 안드로이드와는 조금 달라서 이번에 정리하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위 화면은 mount 로 DOS 폴더를 C:로 잡고 해상도를 1024x768로 자동 설정 후 mdir 까지 자동 실행되게 설정한 후의 화면입니다.
일단 mount 하기위 한 dos 폴더를 적절한 위치에 만들어 줍니다.
저는 DOS 폴더(대소문자 구분)로 만들어 놓고 그 안에 mdir을 넣어 두었습니다.


위와 같이 다운로드, 바탕화면 등이 있는 폴더에 만들어 줍니다.


도스박스를 실행하고나면 mount를 해 줍니다.
위와 같이 "mount c ~/DOS" 를 입력 합니다. DOS 폴더를 C드라이브로 지정한다는 뜻입니다.

 
이제 C 드라이브로 이동이 가능해 졌습니다. 명령어는 위와 같습니다.
dir를 눌러서 파일 및 폴더 확인을 해 보면 미리 넣어둔 mdir 폴더가 있습니다.

 
cd mdir 명령어를 쳐서 mdir 폴더로 이동해 줍니다.


실행 파일인 m 을 실행시켜 주면 위와 같이 mdir 프로그램이 실행 됩니다.
이제 폴더간 이동을 쉽게 할 수 있고 실행 파일도 엔터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해서 도스박스를 실행 할 때마다 매번 위와같은 입력을 하는건 상당히 귀찮은 일입니다.
아래에서는 도스박스 실행 시 자동으로 되게 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도스박스에서 autoexec.bat 배치파일 수정하기


Z드라이브에 익숙한 파일 autoexec.bat 파일이 보입니다. 
윈도우의 시작프로그램 역할을 하는 파일입니다. 에디터로 들어가서 이것저것 실행시킬 수 있는데 도스박스는 에뮬레이터라 저 파일을 손대서 하지는 않습니다. 


autoexec.bat 를 수정하는 대신 위 화면에서 dosbox-0.74-3.conf 파일을 검색해서 수정해 주면 됩니다. 검색할 때 컨트롤+h 를 눌러서 숨긴 파일도 볼 수 있게 해줘야 파일이 보입니다.


위 파일을 열어서 수정해 주면 됩니다. 기본 메모장 같은 프로그램을 써도 되는데 저는 서브라임 텍스트를 이용했습니다.


위 처럼 입력을 해주면 도스박스가 실행 되면 C드라이브를 마운트 합니다.
아래 path 명령은 아무데서나 그 폴더에 있는 파일을 실행 할 수 있게 경로 지정을 해 주는 것입니다.
위처럼 해두면 그냥 c:\ 에서 m 을 치건 z:\ 에서 m을 치건 mdir이 실행 됩니다.
맨 아래 m은 mdir 실행을 바로 하라는 것인데 위에서 path를 지정했기 때문에 바로 실행이 됩니다.

도스박스 기본 창크기 2배로 크게 조절하기


그런데 실행을 하면 기본 도스박스화면이 작아서 전체화면으로 해야만 볼만합니다. 도스박스 모서리를 잡고 늘리려고 해도 늘어나지 않아서 불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도스박스 기본창의 크기를 변경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마찬가지로 "dosbox-0.74-3.conf" 이 파일을 수정해 주면 됩니다.


위처럼 29, 30번 줄을 수정해서 창크기 해상도를 지정하고 output=opengl로 변경해 주면 창크기가 크게 실행 됩니다. 알트+엔터를 누르면 전체화면도 가능하지만 그냥 창모드로 하는게 더 편한 것 같습니다.

댓글 쓰기

0 댓글